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여름철 냉방병 증상 원인 예방법 관리

여름철 냉방병 증상 원인 예방법 관리 



지속되는 폭염속에서 에어컨 사용량이 갑자기 급증하면서 주변에 냉방병 환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운 날씨이고 여름철인데 으슬으슬 몸이 떨리고 춥고 왜 이럴까요?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으슬으슬 감기 기운을 느끼지만, 다른 사람들 때문에 에어컨을 끌 수 없기 때문에 겉옷을 챙겨서 입기도 합니다.

여름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말이 있는데요 생각보다 여름 감기로 고생하는 사람도 많고 심한 감기로 크게 끙끙 앓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름감기는 일반적으로 냉방병으로 불립니다. 

 

 

 

★냉방병이란?


냉방병이란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는 실내에 오랫동안 머물렀을 때 나타나는 증상인데요 보통 감기 기운이나 몸살기가 있을 때 냉방병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냉방병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일반 감기와 달리  실내·외 온도 차가 심하거나 실내 습도의 급격한 감소 때문에 나타납니다. 


냉방병은 외부온도와 내부온도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10도 이상 나게 되면 우리 몸의 열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이 자기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신체가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에어컨이 습도를 30~40% 감소시켜 호흡기가 건조해지고 기관지가 예민해져 각종 질병에 걸리 쉽습니다.

실외에서는 이런 두통·오한 등의 증상이 호전됩니다.

또한 오랜 시간 밀폐된 공간에 있는 것도 냉방병의 원인이 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환기되지 않는 실내는 기본적으로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공간 안에 있는 페인트, 벽지, 먼지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에어컨 자체에서 나오는 먼지와 균들도 몸에 좋지 않습니다. 

이렇게 환기 없이 에어컨을 계속 쎄게 돌린다면 냉방병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증상을 모두 냉방병이라고 볼 수는 없는데요.


일단 심하면 병원에 가서 정확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여름감기 예방법에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여름철에 걸릴 수 있는 냉방병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냉방병의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 콧물·코막힘·재채기·인후통
- 두통·오한·어지러움
- 피로감·졸음
- 소화불량·위장 장애·복통·설사
- 집중력 저하

- 식욕감퇴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냉방병 올바른 대처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① 적정 온도 유지 : 실내 온도 26~28℃를 유지합니다.
(실내외 온도 차가 5~6℃를 넘지 않도록 합니다)
② 실내 환기 :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환기합니다.
③ 에어컨청소 : 필터는 최소한 1~2주에 한 번씩 청소합니다.
④ 긴팔 챙기기 : 찬바람이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미리 준비합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가장 우선 되어야 할 것은 과도한 실내외 온도차를 해결하는 것입니다. 


외부 온도와 실내 온도가 크게 차이 나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실내온도는 25도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26~28℃로 하고, 실내외 온도차를 5~6℃로 유지, 하루 3번, 최소 5분에서 30분씩 실내 환기를 자주 해주어야 합니다.


에어컨의 경우 1~2주에 한번 필터 청소를 하면 좋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에어컨 전기요금 계산 여름철 아파트 전력량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서비스면적 알아보기

미환급금 조회 신청 방법 알아보기